암호화폐 전망
안녕하세요. 매일같이 코인 시장을 공부하는 일반인 전문가입니다. 오늘은 코인 좀 아는 사람이란 책의 내용을 가져왔습니다. 코인 좀 아는 사람의 책의 목록을 보시면 1장 돈의 본질을 뒤집은 천재적인 기술 2장 경제라는 관점에서 비트코인은 무엇인가? 3장 새로운 기술에는 함정이 도사린다 4장 알트코인, 자신만의 강점으로 승부하는 코인들의 축제 5장 공공 블록체인, 모두를 위한 급진적인 실험 6장 전용 블록체인, 제한된 범위 내의 알찬 확신 7장 암호화폐에 대한 세계 각국의 애증 8장 놀라운 미래는 이미 우리 곁에 9장 우아한 사기와 새로운 혁명 사이에서 이러한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코인 전문가가 알려주는 책의 내용
코인의 투자방법, 어떠한 코인이 오르는지, 이러한 내용이 아니라 코인을 대하는 자세와 태도, 코인이 탄생하게 된 배경들 옆에서 코인 전문가가 나에게 알려주고 설명해주는 그런 책이었습니다. 믿을만한 코인 전문가 코인 좀 아는 사람 책 내용 중에 기억에 남는 내용을 좀 나눠볼까 합니다. 코 인하면 제일 기억에 남고 대표로 꼽을 수 있는 코인으로는 비트코인입니다. 비트코인을 만든 익명의 창시자가 '사토시 나카모토'입니다. 진짜 정체를 밝힌 적이 없어서 누구인지 아는 사람이 없다고 합니다. 사토시는 누구인가? 사토시는 우리에게 남긴 것은 포럼에 올린 몇백 개의 게시물, 공개 메일링 리스트에 보낸 몇 개의 이메일, 다른 촉 비트코인 개발자들과 나눈 약간의 사적인 대화가 전부라고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사토시가 누구인지 알아내려는 노력은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지금은 사토시가 2011년 4월 26일 앤드리슨에게 남긴 서신을 마지막으로 사라졌습니다. 코인 좀 아는 사람에 사토시의 철학과 사토시의 정체설과 그 외에 사토시를 둘러싼 이상한 주장들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암호화폐 거품인가 혁명인가?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거품인가 혁명인가? 사토시는 통화가 더는 은행과 정부의 통제를 받지 않고, 사람들이 권력기관에 의지하지 않고도 금융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세상을 상상했다! 그 뒤에 나온 대부분의 암호화폐도 이와 비슷한 정신을 따랐지만 결국 정부가 개입하지 않는 탈중앙 화폐로 경제를 구축한다는 것은 비현실적이라는 사실이 명백해졌다. 코인들은 엄청난 영향을 미치긴 했지만 그 기술을 만든 사람들이 의도한 식으로는 되지 않은 것이다. 그렇다면, 거품인가? 혁명인가? 단기적으로 암호화폐는 분명히 등락을 거듭할 것이고 블록체인 앱들은 나타났다가 사라지길 반복할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이 장기적으로는 거품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암호화폐의 전망
암호화폐의 미래 은행을 대체하고 정부를 약화시키는 어떤 집단이 운영하는 코인에 있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법률, 금융, 정치 제도에 무난히 통합되는 고도로 규제된 코인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암호화 기술을 성공적으로 활용하는 대부분의 사람은 단순히 더 나은 기술적 도구가 필요한 사람들이다. 이러한 경향은 대기업과 정부, 은행에서 보이며, 이들은 블록체인과 암호화폐를 사용해 효율성과 투명성을 높이고 보안을 개선하고 이득을 늘리고자 한다. 정상적인 경제 상황에서 대부분의 시민은 정부가 지원하는 통화에서 정부가 지원하지 않는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로 옮겨가고 싶어 하지 않을 것이다. 그렇지만 경제나 통화가 무너지면 우리는 암호화폐가 비공식적 디지털 거래에 사용되는 모습을 보게 될 수 있다. 의 책은 코인 전문가가 다룬 내용을 담아두었다고 보면 된다. 쉽게 어떤 코인이 좋은가? 코인 투자를 어떻게 해야 하는가? 이런 내용들이 아니다 코인을 투자하기 전에 꼭 이 책을 보고 코인 투자를 하기를 바랍니다. 준비한 코인 좀 아는 사람 책 정보는 여기까지이며 다음에는 더 좋은 종목을 들고 오겠습니다.
'비트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던프로토콜 코인 시세와 앞으로의 전망및 내생각 (0) | 2022.05.20 |
---|---|
전쟁과 달러 및 경제의 상관관계 (1) | 2022.05.19 |
NFT 및 크립토 시장 앞으로의 전망 (0) | 2022.05.17 |
온톨로지 코인 특징과 앞으로의 전망 (0) | 2022.05.16 |
김치코인 문제점과 앞으로의 전망및 내생각 (0) | 2022.05.15 |
댓글